차디찬 아침인데
묘향산행 승합자동차는 텅 하니 비어서
나이 어린 계집아이 하나가 오른다
옛말속같이 진진초록 새 저고리를 입고
손잔등이 밭고랑처럼 몹시도 터졌다
계집아이는 자성(慈城)으로 간다고 하는데
자성은 예서 삼백오십 리 묘향산 백오십 리
묘향산 어디메서 삼촌이 산다고 한다
새하얗게 얼은 자동차 유리창 밖에
내지인 주재소장 같은 어른과 어린아이 둘이 내임*을 낸다
계집아이는 운다 느끼며 운다
텅 비인 차 안 한구석에서 어느 한 사람도 눈을 씻는다
계집아이는 몇 해고 내지인 주재소장 집에서
밥을 짓고 걸레를 치고 아이보개를 하면서
이렇게 추운 아침에도 손이 꽁꽁 얼어서
찬물에 걸레를 쳤을 것이다
- 백석, 「팔원(八院)-서행시초(西行詩抄) 3」 -
작품명: 팔원-서행시초3(1939)
작가명: 백석(1912~1996)
[제목을 통한 내용 예측]
팔원: 지명(평안북도 영변군 팔원면)
서행시초: 평안도를 기행하고 쓴 시
[작가에 대한 기본 지식]
- 평안북도 정주 출생, 1930년 조선일보 현상 문예에 소설 「그 모(母)와 아들」이 당선됨. 1935년 조선일보에 시 「정주성」을 발표하면서 시인으로 활동을 시작함. 북한에 거주- 시적 경향- 모더니즘을 수용함. 식민지 상황에서 상실된 자아의 주체적 정서를 모국어의 결로 살려 유지하려고 노력함. 모국어의 지역성, 향토성을 살림, 식민 통치의 강압에 대해서 민족의 주체적 공간 의식을 토속어를 통해 지켜 나감.(초기시: 사투리 구사, 토속적인 소재, 농촌 공동체 정서 / 후기시: 기행시, 모더니즘 계열시)
[내용 분석]
1. 누가?(화자)
표면에 드러나지 않음(어느 한 사람→화자), 객관화
2. 누구에게?(청자/시적 대상)
청자: 없음
시적 대상: 나이 어린 계집아이
3. 무엇을?(메시지)
1) 묘향산행 승합자동차에 오른 계집아이를 봄.(관찰)
2) 우는 계집아이에 대한 연민
3) 계집아이의 고달픈 삶을 상상함.
4. 어떻게?(화자의 정서 및 태도, 표현 방법)
1) 화자의 정서 및 태도
- 계집아이에 대한 연민
- 담담한 어조
2) 표현 방법
- 상황을 사실적으로 묘사함.
- 계집아이의 삶을 상상(추측)
[시에 담긴 이야기(구조도 또는 그림)]
[주제]
일제 강점하의 민족의 비애와 삶
[작품 관련 개념 및 시어, 시행 분석]
1) 차디찬 아침: 고난과 시련의 이미지
2) 새하얗게 얼은: 겨울의 이미지, 고난과 시련의 이미지
3) 내지인: 일본인
4) 내임: '배웅'의 평안 방언
5) 어느 한 사람도 눈을 씻는다: 계집아이에 대한 시적 화자의 연민
6) 아이보개: 아이를 돌보는 일
'수능 문학 작품 분석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 시가 오우가(윤선도) 한 장으로 해설하기 (1) | 2023.09.16 |
---|---|
고전 시가 추야우중(최치원)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9.15 |
고전 시가 두터비 파리를 물고(작자 미상)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9.13 |
현대시 도봉(박두진)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9.12 |
현대시 절정(이육사) 한 장으로 해설하기 (1) | 2023.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