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국어 질문 창고

고전 시가 장진주사(정철) 한 장으로 해설하기

by 쉬운 국어 2023. 9. 17.
728x90

한 잔 먹세그려. 또 한 잔 먹세그려. 꽃 꺾어 수(數) 놓고 무진 무진 먹세그려.
이 몸 죽은 후면 지게 위에 거적 덮어 졸라매 메고 가나 오색실 화려한 휘장에 만인이 울며 가나, ⓓ억새풀, 속새풀, 떡갈나무, 백양 속에 가기만 하면, 누런 해, 흰 달, 가는 비, 굵은 눈, 회오리바람 불 제 뉘 한 잔 먹자 할꼬
하물며 무덤 위에 원숭이 휘파람 불 때야 뉘우친들 어찌 하리.
- 정철. 「장진주사(將進酒辭)」 -
 
[ 현대어 풀이 ]
한 잔 먹세그려, 또 한 잔 먹세그려. 꽃을 꺾어 술잔 수를 세면서 끝없이 먹세 그려.
이 몸이 죽은 후에는 지게 위에 거적을 덮어 졸라매어 가거나, 화려하게 ㄲ민 상여에 실려 많은 사람들이 울면서 따라가거나, 억새와 속새, 떡갈나무와 백양나무 숲 속에 가기만 하면 누런 해와 흰 달이 뜨고, 가랑비와 함박눈이 내리며, 소소리바람이 불 때 누가 한 잔 먹자고 하겠는가?
하물며 무덤 위에 원숭이가 휘파람을 불 때 (지난날을) 뉘우친들 무엇하겠는가?


작품명: 장진주사(최초의 사설시조)
작가명: 정철(1536~1593)

[제목을 통한 내용 예측]
술을 권하는 노래(=권주가)

[작가에 대한 기본 지식]
- 조선 중기의 문신, 문인. 호는 송강.
- 문학적 경향: 임금에 대한 사랑과 백성에 대한 사랑을 기본 사상으로 함. 연군지정, 유배 생활의 어려움, 인생의 덧없음, 삶의 슬픔과 고통, 풍류 등을 노래함.  

[내용 분석] 
1. 누가?(화자)
이 몸

2. 누구에게?(청자/시적 대상)
청자: 없음
시적 대상: 불특정 대상

3. 무엇을?(메시지)
1) 초장: 술을 권함.(풍류, 낭만적 태도)
2) 중장: 죽으면 술 한 잔 먹자고 할 사람도 없음.(인생무상)
3) 종장: 죽은 뒤에 후회하는 것은 무의미함.

4. 어떻게?(화자의 정서 및 태도, 표현 방법)
1) 화자의 정서 및 태도
- 술을 즐기는 향락적, 풍류적 태도
- 술을 권함. 인생무상
2) 표현 방법
- 반복법(aaba와 유사)
- 점층법
- 대조(초라한 죽음, 화려한 죽음/ 초장의 낭만적 풍경↔중장, 종장의 무덤 주변의 쓸쓸한 풍경), 열거(중장을 늘림→주제 강조)
- 설의법(중장, 종장)

[시에 담긴 이야기(구조도 또는 그림)]


[주제]
술로써 인생무상을 해소함.

[작품 관련 핵심 개념 및 시어 정리]
- 국문학 사상 최초의 사설시조
- 무덤 위에 원숭이 휘파람 불 때: 무덤 주변의 쓸쓸한 모습을 청각적으로 표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