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중 조홍감*이 고와도 보이나다.
유자이 아니라도 품음직 하다마는
품어 가 반길 이 없을새 글로 설워하나이다.
<제1수>
왕상의 잉어 잡고 맹종의 죽순 꺾어
검던 머리 희도록 노래자의 옷을 입고
일생에 양지성효(養志誠孝)*를 증자*같이 하리이다.
<제2수>
만균*을 늘려 내어 길게길게 노*를 꼬아
구만리 장천에 가는 해를 잡아매어
북당*에 학발쌍친*을 더디 늙게 하리이다.
<제3수>
군봉* 모이신 데 외까마귀 들어오니
백옥 쌓인 곳에 돌 하나 같다마는
두어라 봉황도 비조와 류시니* 모셔 논들 어떠하리.
<제4수>
- 박인로,「조홍시가(早紅柿歌)」-
* 반중 조홍감 : 소반 위에 담긴 일찍 익은 홍시
* 양지성효(養志誠孝) : 부모의 뜻을 받드는 정성스러운 효성
* 증자 : 효심이 깊은 것으로 유명한 공자의 제자
* 만균 : 큰 쇳덩어리
* 노 : 노끈
* 북당 : 늙은 부모가 계신 안방
* 학발쌍친 : 머리 흰 늙은 부모
* 군봉 : 여러 마리의 봉황새
* 비조와 류시니 : 나는 새와 한 종류이시니
작품명: 조홍시가
작가명: 박인로
[제목을 통한 내용 예측]
조홍: 감, 일찍 익고 빛깔이 매우 붉음
[작가에 대한 기본 지식]
- 조선 중기의 무인, 시인, 호는 노계, 임진왜란 때 수군에 참여하여 공을 세움, 말년에는 은거하면서 시작에 몰두함.
[내용 분석]
1. 누가?(화자)
표면에 드러나지 않음
(비유: 까마귀, 돌)
2. 누구에게?(청자/시적 대상)
청자: 없음.
시적 대상: 부모님
3. 무엇을?(메시지)
① 1수: 풍수지탄
② 2수: 부모님께 효도함
③ 3수: 부모님이 더디 늙기를 바람
④ 4수: 훌륭한 사람들과 사귀는 즐거움, 자부심
4. 어떻게?(화자의 정서 및 태도, 표현 방법)
1) 화자의 정서 및 태도
- 어머니에 대한 사랑, 그리움, 효도
- 훌륭한 사람들과 사귀는 즐거움
2) 표현 방법
- 고사 인용(육적, 회귤고사)
- 영탄
- 불가능한 상황 설정
[주제]
부모님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 풍수지탄


'수능 문학 작품 분석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시 계단(곽재구)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7.07 |
---|---|
고전 시가 견회요(윤선도)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7.07 |
고전 시가 영립(김병연)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7.06 |
현대시 수라(백석)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7.06 |
현대시 구두 한 켤레의 시(곽재구)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