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문학 작품 분석 창고

현대시 가는 길(김소월) 한 장으로 해설하기

by 쉬운 국어 2023. 7. 4.
728x90

작품명: 가는 길
작가명: 김소월
 
[제목을 통한 내용 예측]
어디론가 가야 하는 상황

[작가에 대한 기본 지식]
- 평안북도 구성군 정주 출생, 오산 학교에서 시인 김억에게 시를 배움. 음독 자살로 생을 마감함.
- 시적 경향: 전통적인 한의 정서를 여성적 정도와 민요적 율조로 표출함(민요 시인이라 불림.)

[내용 분석]
1. 누가?(화자)
표면에 드러나지 않음.

2. 누구에게?(청자/시적 대상)
청자: 없음.
시적 대상: 가마귀, 강물

3. 무엇을?(메시지)
① 1연: 임에 대한 그리움과 망설임.
② 2연: 이별의 미련과 망설임.
③ 3연: 가마귀가 떠남을 재촉함.
④ 4연: 강물이 떠남을 재촉함.

4. 어떻게?(화자의 정서 및 태도, 표현 방법)
1) 화자의 정서 및 태도
- 피할 수 없는 이별의 상황 속에서 떠나지 않으면 안되는 자아(갈등)
- 아쉬움, 그리움, 망설임.   
2) 표현 방법
- 7.5조의 음수율, 3음보
- 1,2연이 짧고 3,4연이 긺→심리의 표현(망설임-조급함)
- 평북 방언 사용(흐릅디다려)
- 객관적 상관물(가마귀, 강물: 이별의 안타까움, 슬픔을 환기)
- 선정후경
- 행간 걸침(하니: 망설임을 표현)

[주제]
이별의 아쉬움과 임에 대한 그리움(이별의 순간에 느끼는 갈등)
 

가는 길(김소월) 학습지.pdf
0.12MB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