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내적 갈등은 물론 마음 속의 두 가지 가치관의 충돌로 볼 수 있는데,
보통 고뇌(괴로움, 힘들어함)의 정서가 있으면 내적 갈등으로 봅니다.
따라서
현실의 고난과 가장으로서의 책임감이라는 상황과 정서의 충돌이
화자를 힘들게 하므로 내적 갈등이라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박목월의 <가정>에서도 내적 갈등은 드러납니다.
작품에서 화자가 자신의 힘겨운 삶과 가장으로서의 책임감 있는 삶 속에서
힘겨워 하는 모습이 바로 내적 갈등이 드러난다고 보는 것입니다.
‘여기는 지상 / 연민한 삶의 길이여'나
'내 신발은 십구문반',
’아버지라는 어설픈 것‘를 통해
자신의 삶을 연민의 시선으로 생각하고
힘든 삶(굴욕과 굶주림과 추운 길,
얼음과눈으로 벽을짜올린 여기는 지상. 연민한 삶의 길)을 사는 아버지로서 집안의 가장으로서 무게감,
그리고
그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자신에 대한 자책과 자괴감의 표현에서
화자의 모습에서 내적 갈등을 읽을 수 있습니다.
728x90
'수능 국어 질문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액자식 구성이란 무엇인가요? (0) | 2023.07.05 |
---|---|
객관적 상관물과 감정이입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0) | 2023.07.05 |
골계와 풍자는 다른 것인가요? (0) | 2023.07.05 |
추상적이라는 말의 뜻은 무엇인가요? (0) | 2023.07.05 |
관조적 태도와 달관적 태도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0) | 2023.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