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국어 질문 창고

객관적 상관물과 감정이입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by 쉬운 국어 2023. 7. 5.
728x90

객관적 상관물은,
정서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아닌 구체적인 사물을 지시하는 가운데 
간접적으로 정서를 드러내는 방법입니다. 
 
감정이입은, 
대상에 인간의 감정을 투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무생물이나 동식물과 같이 감정을 가질 수 없다고 생각되는 대상에 화자가 자신의 감정을 이입하여
감정을 갖고 있는 것처럼 표현하는 것입니다. 

즉, 감정이입은 화자의 감정이 대상에 직접 투영되어 나타나고,
객관적 상관물은 화자의 감정이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습니다.
 
그런데, 또 어떤 입장에서는 객관적 상관물을 네 가지로 나누어 말합니다.
1. 객관적 상관물과 시적 화자의 상황이 상반되는 경우 
2. 객관적 상관물이 시적 화자의 분신으로 쓰이는 경우
3. 객관적 상관물에 시적 화자의 소망을 기원하는 경우
4. 객관적 상관물에 시적 화자의 감정을 이입하는 경우
로 나누고 있습니다.
 
이렇게 본다면, 
감정이입은 객관적 상관물의 한 종류인 것이지요.
결론은 객관적 상관물은 대상을 통해 화자의 감정이 드러나는 모든 것을 말하고,
감정이입은 대상의 감정을 통해 화자의 감정이 직접 드러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덧붙여 말하면,
출제자들은 객관적 상관물과 감정이입을 굳이 구분해서 문제를 내지 않습니다. 
따라서 객관적 상관물과 감정이입을 구분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