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운 계절의 채찍에 갈겨
마침내 북방으로 휩쓸려 오다.
하늘도 그만 지쳐 끝난 고원(高原)
서릿발 칼날진 그 위에 서다.
어데다 무릎을 꿇어야 하나
한 발 재겨 디딜 곳조차 없다.
이러매 눈 감아 생각해 볼밖에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 이육사, 「절정」-
[제목을 통한 내용 예측]
절정: 최고에 달한 상태나 경지.
[작가에 대한 기본 지식]
- 경상북도 안동 출생. 본명 이원록. 퇴계 이황의 14대손. 독립운동가. 대구 형무소에 투옥될 당시의 수인 번호가 264번이었음.
- 시적 경향: 항일 투쟁 속에서 40여 편의 시를 창작함. 독립에 대한 의지와 항일 투쟁에 대한 내용을 담음. 직설적 표현보다는 언어적 정제를 통한 상징과 은유를 사용함.
[내용 분석]
1. 누가?(화자)
표면에 드러나지 않음.
2. 누구에게?(청자/시적 대상)
청자: 없음.
3. 무엇을?(메시지)
1) 1연[기]: 북방으로 옴(채찍 때문에) → 현실의 수평적 극한(한계 상황)
2) 2연[승]: 고원 위에 섬 → 현실의 수직적 극한(한계 상황)
3) 3연[전]: 막다른 곳 → 극한 상황에 대한 인식
4) 4연[결]: 눈 감는 행위 → 극한 상황에 대한 극복 의지
4. 어떻게?(화자의 정서 및 태도, 표현 방법)
1) 화자의 정서 및 태도
- 남성적 어조
- 저항적, 의지적 태도
2) 표현 방법
- 기승전결의 한시적 구성 방식
- 현재형 시제
- 극한 상황의 점층적 고조
- 추측의 표현(~ㄴ가 보다.)
- 공간 인식의 변화(면→선→점: 현실 초극(외형적 공간에서 내면적 세계로 점층적으로 전개됨.))
- 역설적 표현(강철: 비정함, 강인함 / 무지개: 희망, 일시적)
[시에 담긴 이야기(구조도 또는 그림)]
[주제]
절망적 현실에 대한 초극 의지
[작품 관련 개념 및 시어, 시행 분석]
1) 매운 계절: 일제 강점기의 가혹한 상황 / 촉각을 미각으로 전이한 공감각적 심상
2) 채찍: 일제의 학대와 탄압
3) 북방: 수평적 공간(만주)
4) 고원: 한계 상황에 도달한 수직적 공간의 끝
5) 하늘도 그만 지쳐 끝난 고원: 소망, 가능성도 없는 극한 상황
6) 이러매: 시상의 전환. 외형적 현실 공간을 초월하여 정신적 관념의 세계로 바뀜.
7) 강철로 된 무지개: 역설적 표현, 극한 상황에서의 초극 의지. 강철은 현실의 비극적 상황을 암시, 무지개는 현실 초월과 이상에 대한 꿈과 희망을 암시함.
'수능 문학 작품 분석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 시가 두터비 파리를 물고(작자 미상)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9.13 |
---|---|
현대시 도봉(박두진)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9.12 |
현대 소설 레디메이드 인생(채만식) 한눈에 읽기 (0) | 2023.09.08 |
고전 시가 댁들에 동난지이 사오(작자 미상)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9.06 |
현대시 대장간의 유혹(김광규)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