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은 아버지요 君隱父也
신하는 사랑을 주는 어머니요 臣隱愛賜尸母史也
백성은 어린아이라고 하신다면 民焉狂尸恨阿孩古爲賜尸知
백성이 사랑을 알리라 民是愛尸知古如
꾸물거리며 사는 물생 窟理叱大肹生以支所音物生
이들을 먹여 다스려서 此肹喰惡攴治良羅
이 땅을 버리고 어디로 가리 한다면 此地肹捨遺只於冬是去於丁爲尸知
나라 안이 유지될 줄 알리라 國惡攴持以支知古如
아아 임금답게 신하답게 백성답게 한다면 後句君如臣多支民隱如爲內尸等焉
나라 안이 태평할 것이리라 國惡太平恨音叱如
- 충담사, 「안민가(安民歌)」-
<배경 설화>
신라 경덕왕 24년 3월 3일에 왕이 귀정문 문루에 올라 신하들에게 "누가 나가서 영복한 스님을 얻어 오겠느냐?" 하였다. 마침 한 스님이 점잖고 깨끗하게 차리고 천천히 지나가니 그가 충담이었다. 왕은 충담에게 "나를 위해 백성을 편안히 살도록 다스리는 노래(안민의 노래)를 지으라."라고 하였고, 충담이 곧바로 지어 바쳤다.
작품명: 안민가
작가명: 충담사
[제목을 통한 내용 예측]
안민가(安民歌): 백성들을 편안하게 만드는 노래(10구체 향가)
[작가에 대한 기본 지식]
신라 경덕왕 때 승려
[내용 분석]
1. 누가?(화자)
표면에 드러나지 않음.
2. 누구에게?(청자/시적 대상)
경덕왕
3. 무엇을?(메시지)
① 1~4구(기): 군, 신, 민의 관계-가족주의(위정자의 선정이 필요함)
② 5~8구(서): 백성을 배불리 먹이는 일의 중요성-민본주의→나라유지
③ 9~10구(결): 군, 신, 민이 본분을 지켜야 함→태평성대
4. 어떻게?(화자의 정서 및 태도, 표현 방법)
1) 화자의 정서 및 태도
- 교훈적, 설득적 태도
- 공손하고 간곡한 어조
- 직설적
2) 표현 방법
- 은유법(군=아버지, 신=어머니, 민=어린아이)
- 가정법
- 인용
- 낙구의 감탄사
- 반복법
- 유교적 내용(가족주의, 민본주의, 유교적 정명 사상)
[주제]
나라를 다스리는 올바른 자세(유교적 이념을 노래한 유일한 향가)


'수능 문학 작품 분석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 소설 노새 두 마리(최일남) 한눈에 읽기 (0) | 2023.07.15 |
---|---|
현대시 저문 강에 삽을 씻고(정희성)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7.14 |
현대 소설 꺼삐딴 리(전광용) 한눈에 읽기 (0) | 2023.07.13 |
현대 소설 유예(오상원) 한눈에 읽기 (0) | 2023.07.13 |
고전 시가 한거십팔곡(권호문)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