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체자는 가획의 원리에서 벗어난 글자를 말합니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
자음은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제자의 기본자를 만들고,
여기에 가획의 원리를 적용하여
기본자에 획을 더하여 가획자를 만들었는데,
이체자는 이 가획의 원리에서 벗어난 글자입니다.
이체자에는 '옛이응', ㄹ, 반치음이 있습니다.
아음(연구개음)은 ㄱ을 기본자로,
가획자는 ㅋ인데,
이 가획의 원리에서 벗어난 글자인 ㆁ(옛이응)이 있고,
설음(혓소리)은 기본자가 ㄴ이고
가획자는 ㄷ, ㅌ인데,
가획의 원리에서 벗어난 ㄹ이 있습니다.
치음(잇소리)은 기본자가 ㅅ, 가획자는 ㅈ, ㅊ인데,
가획의 원리에서 벗어난 반치음이 있는 것입니다.
덧붙이면
가획의 원리는 소리의 세기에 따라 획을 더하는 것을 말하고
(ㄱ→ㅋ 예사소리에서 가획하여 거센소리가 됨)
이체자는 이것과 관련이 없으므로
소리에 세기와 관련이 없다는 것입니다.
728x90
'수능 국어 질문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형사 '헌'과 동사 헐다의 활용형인 '헌'의 구별은 어떻게 하나요? (1) | 2023.08.08 |
---|---|
명사화 접미사와 명사형 어미의 구분은 어떻게 하나요? (0) | 2023.08.04 |
관형사와 형용사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0) | 2023.07.28 |
ㅎ종성 체언과 8종성 표기는 상충되나요? (0) | 2023.07.24 |
어근과 접사는 어떻게 구별하나요? (0) | 2023.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