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명사화 접미사와 명사형 전성 어미를 구분하는 방법은
해당 단어의 앞 뒤 관계를 따져 보며 구분하셔야 합니다.
명사화 접미사가 결합한 단어는 품사가 바뀌어 파생 명사가 되고,
명사형 전성 어미가 결합한 단어는 품사가 바뀌지 않습니다.
또한
명사형 전성 어미가 결합한 용언의 명사형은 서술성이 있고,
명사화 접미사가 결합한 파생 명사는 서술성이 없습니다.
뿐만 아니라
파생 명사는 서술성이 없으므로 부사적 표현의 수식을 받을 수 없고
대신 명사를 수식하는 관형어가 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는 달리기를 잘한다'라는 문장에서
'달리기'는 동사 어간 '달리-'에 명사화 접미사인 '-기'가 붙어 만들어진
파생 명사로, 서술성이 없습니다.
반면
'물 속에서 달리기가 어렵다'의 문장에서의
'달리기'는 동사 어간 '달리-'에 명사형 전성 어미인 '-기'가 붙어 만들어진
용언의 명사형 입니다.
이 문장은
'물 속에서 달리기'라는 명사절을 안은 문장으로,
'물 속에서'가 부사어로 '달리기'를 수식하고 있으며
'달리기'는 서술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결국
명사화 접미사와 명사형 전성 어미가 사용된 단어를 구분하는 방법은
서술성이 있느냐, 없느냐
관형어의 수식을 받느냐, 부사어의 수식을 받느냐
를 가지고 구분하는 방법이
가장 확실하고, 쉬운 구분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728x90
'수능 국어 질문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림의 농무에서 '신명이 난다'를 왜 역설적 상황에서의 반어라고 하는 건가요? (0) | 2023.08.12 |
---|---|
관형사 '헌'과 동사 헐다의 활용형인 '헌'의 구별은 어떻게 하나요? (1) | 2023.08.08 |
이체자가 무엇인가요? (0) | 2023.07.29 |
관형사와 형용사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0) | 2023.07.28 |
ㅎ종성 체언과 8종성 표기는 상충되나요? (0) | 2023.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