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국어 질문 창고

신경림의 농무에서 '신명이 난다'를 왜 역설적 상황에서의 반어라고 하는 건가요?

by 쉬운 국어 2023. 8. 12.
728x90

「농무」의 '우리는 점점 신명이 난다'에서
역설적 상황이라 함은, 
역설의 의미를 생각하면 이해가 쉽습니다. 
역설은 겉으로 보면 명백히 모순되고 이치에 닿지 않는 듯한 표현인데
어떤 진실을 담고 있음을 말합니다. 
즉 모순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 작품에서 농민들은 비료값도 안 나오는 농사를 하면서
삶의 울분과 슬픔을 지니고 있습니다. 
하지만
'신명이 난다'는 말을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내면적으로는 삶의 울분과 슬픔을 가지고 있지만
표면적으로는 신명을 말하고 있으므로
반어적 표현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말하고 있는 화자의 상황을 생각해 보면
도저히 신명이 난다고 할 수 없는 상황임에도 
신명이 난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즉 말도 안되는 상황, 모순적 상황입니다. 
농민들이 자신의 삶의 한을 농무를 통해 신명으로 풀어내고 있는 것입니다.
결국
이렇게 농촌의 피폐한 현실, 한과 슬픔을 만들어 내는 농촌의 상황에서
이 작품을 읽는 독자는 속마음과 다르게 신명을 말하는 농민들의 마음을 이해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구절에 대해 
역설적 상황에서의 반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