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국어 질문 창고

음보율과 음수율의 개념

by 쉬운 국어 2023. 8. 22.
728x90

시를 읽다 보면 시어나 구절 등이 자연스럽게 한 덩어리로 읽히고

소리 내어 읽는 데에 동일한 시간을 사용하게 되는 '말의 덩어리들'이 존재합니다. 

이를 음보라고 합니다.

즉 자연스럽게 시를 읽을 때, 호흡을 끊어서 읽을 때 

음보가 나눠지는 것입니다. 

 

결국 입으로 소리내어 시를 읽을 때 자연스럽게 끊어 읽게 되어 

운율이 나타나는 것이 음보율입니다. 

예를 들어

고려가요 「가시리」의 경우,

고려가요의 일반적인 운율상의 특징이 3음보의 율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시리」도 고려 당시의 민중들이 

3음보로 '가시리 / 가시리 / 잇고'로 끊어 부르지 않았을까 추정하고

우리도 「가시리」를 그렇게 끊어 읽는 것입니다.

 

음수율은 글자수가 어떻게 반복되는가를 기준으로

운율을 확인하는 것과 관련됩니다. 

음수는 음절 수를 의미합니다. 

음절은 발음할 때 한 번에 낼 수 있는 소리의 단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3.3.2조의 음수율을 가진 작품의 경우 

3글자 / 3글자 / 2글자로 끊어서 읽는데

위의 「가시리」의 구절을 보면

'가시리 / 가시리 / 잇고'로 끊어 부르기 때문에

3.3.2조의 음수율이라고 할 수 있는 것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