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몸이 죽어 가서 무엇이 될꼬 하니
봉래산 제일봉(第一峰)에 낙락장송(落落長松) 되어 있어
백설(白雪)이 만건곤(滿乾坤)할 제 독야청청(獨也靑靑) 하리라
[현대어 풀이]
이 몸이 죽은 뒤에 무엇이 될까 생각해 보니
봉래산 제일 높은 봉우리에 우뚝 솟은 소나무가 되어서
흰 눈이 온 세상을 뒤덮을 때에 홀로 푸른빛을 발하리라.
작품명: 이 몸이 죽어 가서
작가명: 성삼문(1418~1456)
[제목을 통한 내용 예측]
자신의 죽음과 관련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함.
[작가에 대한 기본 지식]
- 조선 전기의 문신,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세조에게 죽임을 당한 사육신 중 한 명.
[내용 분석]
1. 누가?(화자)
이 몸
2. 누구에게?(청자/시적 대상)
청자: 없음
3. 무엇을?(메시지)
1) 초장: 죽은 후의 상황에 대한 자문
2) 중장: 죽음 후의 모습에 대한 자답(낙락장송이 되겠다)
3) 종장: 죽음 후의 모습에 대한 자답(독야청청하겠다→지조와 절개를 지키겠다)
4. 어떻게?(화자의 정서 및 태도, 표현 방법)
1) 화자의 정서 및 태도
- 지조와 절개
- 의지적 태도
- 부정한 세력에 대한 비판적 태도
- 유교적 세계관(충의)
2) 표현 방법
- 자문자답
- 가정법
- 색채 대비: 흰색(백설)과 푸른색(청청)의 대비→의지 강조
- 이상화된 자연물을 활용(낙락장송: 소나무-지조와 절개)
[시에 담긴 이야기(구조도 또는 그림)]

[주제]
단종을 향한 굳은 절개, 지조, 충절
[작품 관련 핵심 개념 및 시어 정리]
- 낙락장송: 지조와 절개를 상징하는 자연물
- 백설이 만건곤할 제: 수양대군 득세로 인한 어지러운 현실
- 독야청청하리라: 지조와 절개를 지키겠다는 의지


'수능 문학 작품 분석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 시가 동짓달 기나긴 밤을(황진이) 한 장으로 해설하기 (2) | 2023.09.21 |
---|---|
고전 시가 제망매가(월명사)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9.19 |
현대시 와사등(김광균)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9.17 |
고전 시가 오우가(윤선도) 한 장으로 해설하기 (1) | 2023.09.16 |
고전 시가 추야우중(최치원)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