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명: 와사등
작가명: 김광균
[제목을 통한 내용 예측]
와사등: 가스등(gas 등)의 일본의 음차식 표기
도시의 가로등
[작가에 대한 기본 지식]
- 경기도 개성 출생, 1926년 중학생 재학 중에 가는 누님 발표, 1936년 <시인부락> 동인, 1937년 <자오선> 동인으로 활동함.
- 시적 경향: 김기림에게 영향을 받아 1930년대의 모더니즘 시론을 실천("시는 회화다."). 도시적 감수성과 문명비판적인 지성을 가지고 인간의 서정적 내면 공간을, 참신한 비유적 기교와 세련된 감각적 이미지로 형상화함. 시의 회화성을 추구함.
[내용 분석]
1. 누가?(화자)
나
2. 누구에게?(청자/시적 대상)
청자: 없음(독백)
3. 무엇을?(메시지)
1) 1연: 화자의 공허함과 정신적 방황
2) 2연: 도시의 야경(황량함, 무질서→부정적 태도)
3) 3연: 낯선 거리에서 슬픔을 느낌.
4) 4연: 군중 속에서 고독, 비애를 느낌.
5) 5연: 화자의 공허함과 정신적 방황
4. 어떻게?(화자의 정서 및 태도, 표현 방법)
1) 화자의 정서 및 태도
- 애상적 태도
- 고독, 방황
- 도시 문명에 대한 비판적 태도
2) 표현 방법
- 수미상관의 변형
- 비유법(직유, 은유:등불=신호)
- 시간의 흐름에 다른 시상 전개(저녁→밤)
- 시각적 이미지, 회화적
- 공감각적 이미지(시각의 촉각화: 피부 바깥에 스미는 어둠)
- 시적 허용(차단한→차디찬)
- 설의법
[시에 담긴 이야기(구조도 또는 그림)]

[주제]
현대 도시인의 고독과 비애
[작품 관련 핵심 개념 및 시어 정리]
1) 차단-한: 차디찬(차디차면서 빛나는) 차가운 밤길의 이미지
2) 비인 하늘: 화자의 방향 상실감
3) 내 호올로 어딜 가라는 슬픈 신호냐: 삭막한 도시 문명 속에서 방향을 상실한 현대인의 방황과 고독감
4) 찬란한 야경 무성한 잡초인 양 헝클어진 채: 도시 문명의 무질서한 모습 비판
5) 공허한 군중의 행렬에 섞이어: 군중 속의 고독, 허무감.


'수능 문학 작품 분석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 시가 이 몸이 죽어 가서(성삼문)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9.20 |
---|---|
고전 시가 제망매가(월명사)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9.19 |
고전 시가 오우가(윤선도) 한 장으로 해설하기 (1) | 2023.09.16 |
고전 시가 추야우중(최치원)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9.15 |
현대시 팔원-서행시초3(백석)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