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어 젖히매
나타난 달이
흰구름 좇아 떠가는 것 아니냐?
새파란 냇가에
기랑의 모습이 있구나.
이로부터 냇가 조약돌에
낭의 지니시던
마음의 끝을 좇누아저.
아아, 잣가지 높아
서리 모르올 화반(花班)이여.
- 충담사,「찬기파랑가」-
작품명: 찬기파랑가
작가명: 충담사
[제목을 통한 내용 예측]
기파랑을 예찬(讚)하는 노래 / 기파랑이 죽은 후 그의 높은 인품을 달, 냇물, 조약돌, 잣가지 등에 비유하여 추모함
[작가에 대한 기본 지식]
- 통일 신라 경덕왕 때의 승려
- 대표작 : 안민가(경덕왕의 요청에 따라 백성들을 편안하게 다스리기 위한 노래인 <안민가>를 지음
[내용 분석]
1. 누가?(화자)
표면에 드러나지 않은 화자
2. 누구에게?(청자/시적 대상)
화랑(기파랑) =달, 냇물, 조약돌, 잣나무
3. 무엇을?(메시지)
*양주동 번역
① 문사(1~3행 : 작자가 달에게 물음) - 기파랑의 고결한 모습(달)
② 답사(4~8행 : 달이 작자에게 답함) - 기파랑의 인품 찬양(냇물(or 냇물에 비친 달), 조약돌)
③ 결사(9~10행 : 작자의 독백) - 기파랑의 높은 절개 예찬
기파랑의 인품 예찬
1) 달 : 광명과 염원, 높이 우러러보는 존재
2) 냇물 : 맑고 깨끗한 인품
3) 조약돌 : 원만하고 강직한 성품
4) 잣 가지 : 고결한 인품, 고고한 절개
4. 어떻게?(화자의 정서 및 태도, 표현 방법)
1. 화자의 정서 및 태도
- 추모, 예찬적
- 기파랑의 정신을 따르겠다는 다짐.
- 대상에 대한 회고를 바탕으로 시상 전개
2. 표현 방법
- 달과의 문답(양주동번역시)
- 비유(달, 냇물, 약돌, 잣 가지=기파랑의 인품 은유)
- 돈호법
- 대조(잣나무↔눈)
- 시각적 이미지(흰 구름, 새파란)
- 10구체 향가 낙구의 감탄사(아으), 영탄법
- 기-서-결의 3단 구성
[주제]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추모하고 예찬함.


'수능 문학 작품 분석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 소설 두 파산(염상섭) 한눈에 읽기 (0) | 2023.07.09 |
---|---|
고전 시가 만흥(윤선도)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7.08 |
고전 시가 한림별곡(한림제유)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7.07 |
현대시 계단(곽재구)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7.07 |
고전 시가 견회요(윤선도)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