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수간(山水間) 바위 아래 띠집을 짓노라 하니
그 모른 남들은 웃는다 한다마는
어리고 햐암*의 뜻에는 내 분(分)인가 하노라
<제1수>
보리밥 풋나물을 알맞게 먹은 후(後)에
바위 끝 물가에 슬카지 노니노라
그 남은 여남은 일이야 부럴* 줄이 있으랴
<제2수>
잔 들고 혼자 앉아 [먼 산] 을 바라보니
그리던 임이 온다 반가움이 이러하랴
말씀도 웃음도 아녀도 못내 좋아 하노라.
<제3수>
누고셔 삼공(三公)*도곤 낫다 하더니 만승(萬乘)*이 이만하랴
이제로 헤어든 소부 허유(巢父許由)*가 약돗더라*
아마도 임천한흥(林泉閑興)을 비길 곳이 없어라
<제4수>
내 성이 게으르더니 하늘이 알으실사
인간 만사(人間萬事)를 한 일도 아니 맡겨
다만당 다툴 이 없는 강산(江山)을 지키라 하시도다
<제5수>
강산이 좋다 한들 내 분(分)으로 누웠느냐
임금 은혜를 이제 더욱 아노이다
아무리 갚고자 하여도 하올 일이 없어라
<제6수>
- 윤선도,「만흥(漫興)」-
* 햐암 : 시골에 사는 견문이 좁고 어리석은 사람.
* 부럴 : 부러워할.
*삼공: 삼정승.
*만승: 천자(天子).
*소부, 허유: 요임금 때 세상을 등지고 살던 인물들.
*약돗더라: 약았더라.
[현대어 풀이]
산수간 바위 아래 띠집(움막)을 지으려 하니. / 나의 뜻을 모르는 남들은 비웃기도 한다마는, / 나같이 세상 물정에 어두운 시골뜨기의 생각으로는 이것이 내 분수에 맞는 일인가 하노라. <1수>
보리밥에 풋나물을 알맞게 먹은 후에 / 바위 끝이나 물가에서 마음껏 놀고 있노라. / 이렇게 한가로이 노닐고 있으니 그밖에 다른 일이야 부러워할 까닭이 있겠느냐? <2수>
술잔을 들고 홀로 앉아서 먼 산을 바라보니, / 그리워하던 임이 온다고 할들 반가움이 이보다 더하겠는가? / 산이 말씀하거나 웃음을 짓지도 않건만 나는 그를 한없이 좋아하노라. <3수>
누군가가 (자연과 함께 함이) 정승보다 낫다고 하더니만, 만승천자(萬乘天子)라고 한들 이만큼 하겠는가? / 이제 생각해 보니 옛 중국의 은사(隱士)였던 소부와 허유가 정말 영리하도다. / 아마도 자연 속에서 노니는 즐거움은 비길 데가 없으리라. <4수>
내 천성(天性)이 게으르더니 이를 하늘이 아셔서 / 세상의 많은 일 가운데 한 가지 일도 맡기지 않으시고, / 다만 다툴 사람이 없는(세속인이 탐하지 않는) 자연을 지키라 하셨도다. <5수>
강산(자연)이 좋다고 한들 나의 분수로 (이렇게 편안히) 누워 있겠는가? / 이 모두가 임금의 은혜인 것을 이제 더욱 알겠도다. / 하지만 이 은혜를 갚으려 해도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무 것도 없구나. <6수>
작품명: 만흥
작가명: 윤선도
[제목을 통한 내용 예측]
흥이 일어남(흥은 어디에서부터 비롯되었는가?)
병자호란 때 인조의 항복 소식을 듣고 제주도로 가다가 보길도에 은거하고, 이에 죄를 물어 유배됨. 유배에서 풀린 뒤 전남 해남에서 <만흥>을 씀.
[작가에 대한 기본 지식]
-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시조작가. 호는 고산(孤山). 남인의 중심 인물로 당쟁의 와중에서 여러 차례 유배생활.
- 윤선도의 시조는 송강 정철의 가사와 더불어 조선 시가 문학의 쌍벽을 이룸.
[내용 분석]
1. 누가?(화자)
나
2. 누구에게?(청자/시적 대상)
없음.
시적 대상 : 자연(뫼, 강산)
3. 무엇을?(메시지)
① 1수 : 자연 속에서 안분지족하는 삶(내 분수)
② 2수 : 자연 속에서 즐기는 소박한 삶(안빈낙도) - 속세의 삶을 부러워하지 않음
③ 3수 : 자연을 즐기는 삶(자연과 함께 하는 삶, 이심전심)
④ 4수 : 자연을 즐기는 삶에 대한 자부심(삼공, 만승과 비교)
⑤ 5수 : 하늘이 나에게 강산을 맡김(자연과 함께 사는 삶)
⑥ 6수 : 임금의 은혜에 대한 감사
4. 어떻게?(화자의 정서 및 태도, 표현 방법)
1. 화자의 정서 및 태도
- 자연을 즐김, 자부심, 안분지족, 안빈낙도, 자연친화, 물아일체
- 임금의 은혜에 대한 감사
2. 표현 방법
- 설의법(2수:~부럴 줄이 이시랴 / 6수: 내 분으로 누얻나냐)
- 비교법(삼공, 만승)
- 중국 고사 인용
- 의인법
-자연과 속세의 대비
-영탄법(6수 종장, 업세라)
[주제]
자연에 묻혀 사는 즐거움과 임금에 대한 은혜


'수능 문학 작품 분석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 시가 어부가(이현보)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7.10 |
---|---|
현대 소설 두 파산(염상섭) 한눈에 읽기 (0) | 2023.07.09 |
고전 시가 찬기파랑가(충담사)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7.08 |
고전 시가 한림별곡(한림제유)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7.07 |
현대시 계단(곽재구)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