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파삼우(西坡三友)란 나의 벗 이이립이 스스로 지은 별호이다. 이이립은 사람들 중에서 호걸이다. 소년에 육경(六經)에 통하여 우리 유학에 명성을 독차지하였고, 을유년 과거에 급제하여 대간(臺諫)을 역임하고 인물을 선발하는 직무를 맡아 10년을 벼슬길에 있으면서 공로와 이름이 현저하니, 하늘이 낸 재능이라 일컬을 만하다. 기해년 가을에 벼슬에서 물러나 남방으로 돌아와 영천(永川)의 서파리(西坡里)에 살면서 스스로 짓기를 서파삼우(西坡三友)라 하니, 세 벗이란 확대경과 뿔잔과 쇠칼이다. 그가 말하기를 “내가 벗과 떨어져 혼자 사니 사람들이 나와 벗하지 않고, 나도 또한 사람들과 사귀려 하지 않았다. 이에 세 물건으로 벗을 삼으니, 확대경으로서 끓이는 것을 맡게 하고, 뿔잔으로 술을 숭상하고, 칼로 생선을 회하여 혼자서 술 붓고 마시니 이내 취하고 배가 불렀다. 생선 나고 쌀 나는 시골에 살면서 태평성대를 구가하는 것이다. 이것이 내가 그들을 벗으로 취한 까닭이다. 자네는 이 뜻을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을 덧붙여 의미를 부여해 주기 바란다.” 했다.
나는 벗이라는 것이 그 마음의 덕을 벗하는 것이니 진실로 벗할 덕이 있다면 사람과 물건을 모두 벗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렇기 때문에 옛 사람이 허다하게 물건으로 벗을 삼았다. 그런데 물건 중에 취하여 벗으로 삼을 것이 이것만이 아니거늘, 반드시 이로써 벗을 삼은 것을 어찌 참으로 입으로 먹고 배를 채우기 위한 계책이라고 하겠는가. 그가 겸손하게 말한 것이다.
내가 보기에 확대경은 불을 취하는 기구이다. 한 번 그 불을 얻어 꺼지지 않게 하면 그 빛이 비치지 않는 곳이 없다. 마치 마음의 밝은 덕을 한 번 밝혀 그치지 않게 하면 그것이 다하지 않는 것과 같다. 이 불을 취한 자가 이러한 생각을 가지면 반드시 날로 새롭고 또 새로운 공(功)이 있으리니 어찌 불을 화덕에 피울 뿐이겠는가. 뿔잔은 바로 뿔로 된 것이니 가운데가 비었고 안으로 향하여 아래로 임하는 길이 있다. 거기에 들어간 것이 맑거나 흐리거나 물건을 포용하는 아량을 품고 있다. 이것을 쓰는 자가 그 덕을 생각하면 반드시 도를 즐기고 선을 좋아하는 마음이 생길 것이다. 어찌 석 잔 술의 의미를 알지 못할 우려가 있겠는가. 칼이라는 것은 쇠이다. 가을의 기운과 부합하니 그 덕은 예리한 데에 있다. 그 예리함을 물체에 쓰매 진평은 고기를 공평하게 잘 나누었고, 정치에 쓰매 여회는 일을 결단력 있게 잘 처리했다. 칼을 잡고 용도를 자세히 살피고 칼을 성급하게 쓰지 않는다면 남들이 어찌 감히 옳은 말을 거역하겠는가. 안으로 스스로 몸을 닦는 방법과 밖으로 백성에 임하는 도리가 실로 이 세 가지에 갖추어져 있다.
공자가 일컬은 ‘유익한 벗[益友]’과 맹자가 논한 바 ‘존경하는 벗[尙友]’이라는 말이 본래 이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사람이 이러한 벗을 얻었으니 벗을 취하는 법을 안다고 이를 만하다. 그 취하여 잘 쓰는 바가 어찌 작겠는가. 훗날에 예를 갖춘 부름에 응하고 대신의 직책을 받아서, 백관을 진퇴시키고 일세의 인재를 길러내어, 위로 군왕의 치화(治化)를 돕고 아래로 청사(靑史)에 아름다운 이름을 전하게 되면, 반드시 이 삼우(三友)에게 힘입지 않았다고 하지 못할 것이다. 아, 대장부가 이 세상에 나서 때를 만나고 못 만나는 것은 운명이다. 그러나 바야흐로 밝은 임금이 위에 있어 천지가 조화를 이루고 만물이 무성하게 이루는 도가 새로우니 함께 나아갈 때이다. 내 어찌 기뻐하지 않겠는가. 마땅히 눈을 씻고 기다리겠노라.
- 유방선,「서파삼우설(西坡三友說)」-
작품명: 서파삼우설
작가명: 유방선
[제목을 통한 내용 예측]
서파삼우-이이립의 호: 서파의 세 가지 벗(양수:확대경, 뿔잔, 쇠칼 등의 물건에 대한 이야기)
[작가에 대한 기본 지식]
-변계량, 권근 등에게 학문을 배움. 서거정을 가르침. 태종 5년에 과거 급제, 민무구의 옥사 문제로 영천으로 유배됨. 세종 때 다시 유배됨.
[작품의 줄거리(상황 파악)]
장면Ⅰ: 친구 이이립에 대한 소개
장면Ⅱ: 이이립의 세 벗에 대한 이야기
(그→벗으로 삼은 이유 : 태평성대를 즐기려고 / 나→벗으로 삼은 것은 물건의 덕을 벗하기 위해)
장면Ⅲ: 세 벗(확대경, 뿔잔, 쇠칼)의 의미
장면Ⅳ: 대장부가 할 일
[핵심 사건(갈등)]
이이립이 확대경, 뿔잔, 칼을 벗으로 삼은 이유
[배경 및 소재의 의미와 기능]
세 가지 벗(확대경, 뿔잔, 칼) : 대장부가 지녀야 할 덕목
① 확대경: 불을 만드는 것으로 마음의 밝은 덕을 밝혀서 지닐 수 있게 하는 사물, 끊임없이 밝은 덕을 유지
② 뿔잔: 아래로 깊고 비어 있는 생김새로 모든 물건을 포용하는 아량을 의미, 도와 선을 좋아하는 마음
③ 쇠칼: 예리한 특성을 가지고 있고, 옛 정승이었던 진평과 여회의 사례를 보아 공평함과 결단력을 의미, 옳은 일을 추구
[서술 방식과 서술자의 태도]
- 성인의 견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의견 부각
- 소재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의인화, 인격을 투영)
- 고사를 인용함. 역사적 사례를 활용함.
- 설의적 표현
- 이이립에 대한 예찬적 태도
- 이이립의 말을 인용하여 호를 지은 이유를 밝힘.
- 상황을 가정하여 이이립이 정치에 복귀하여 능력을 발휘하기를 기대함.
[주제]
세 가지 벗에게서 배울 점, 친구 이이립에 대한 기대


'수능 문학 작품 분석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 소설 역마(김동리) 한눈에 읽기 (0) | 2023.07.11 |
---|---|
고전 시가 국화야 너는 어이(이정보) 학습지 (0) | 2023.07.10 |
고전 시가 어부가(이현보)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7.10 |
현대 소설 두 파산(염상섭) 한눈에 읽기 (0) | 2023.07.09 |
고전 시가 만흥(윤선도) 한 장으로 해설하기 (0) | 2023.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