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문학 작품 분석 창고

고전 시가 능허사(김시습) 한 장으로 해설하기

by 쉬운 국어 2023. 7. 18.
728x90

푸른 공중에 구름 없어 천기는 청명한데
저벅저벅 공중을 걷는 소리 때때로 들려오네.
십이 층 누각 위에서 긴 피리 부는 것은
그게 바로 신선의 백옥경일세. 
<제1수>

아침에 이슬 먹고 저녁엔 노을이로세.
허공 넘어가는 이 있단 말 모름지기 믿을괘라.
굽어보니 땅덩어리 너무도 아득한데,
대붕(大鵬)*은 잘 안 뵈고 하루살이 우글대네.
<제2수>
 
맑은 새벽에 학을 타고 청허의 경지에 이르니
골짜기 붉은 구름 열리니 옥황상제가 계신 곳이로구나.
특명으로 신하를 위로하니 자줏빛 조서 펼쳐지고
낭낭한 음성으로 하늘 위에 한 갈래 글자를 짓는구나. 
<3수>
 
왼편 세계에 구름 없어 흰 느릅나무 심었는데
광한궁 속에는 선녀들 춤을 추네.
은하수에 뗏목 띄우니 파도가 넓기도 한데
금 대궐 옥 누각 그게 옥황상제 서울이라네.
<제4수>
 
인간 세상 어디에도 풍파 없는 곳 없어
여덟 날개 달고 바람 타니 큰 집이 여기 있네.
하계(下界)엔 하루살이 온 세상에 가득한데,
만 길이나 쌓인 먼지 그댈 속임 어찌하리.
<제5수>
- 김시습, 「능허사(凌虛詞)」
 
*대붕:하루에 구만 리나 날아간다는 상상의 큰 새.


작품명: 능허사
작가명: 김시습
 
[제목을 통한 내용 예측]
(신선이 되어) 하늘로 오르는 노래
능허: 옥황상제가 있는 곳을 가려면 공중으로 올라가야 하는데, 이를 능허라고 함.
 
[작가에 대한 기본 지식]
- 조선 초기의 문인, 학자, 생육신의 한 사람. 세조의 왕위 찬탈에 불만, 은둔 생활, 승려가 됨
- 사육신의 시신을 몰래 수습하여 노량진에 암장함. 대표작: 금오신화
 
[내용 분석]
1. 누가?(화자)
표면에 드러나지 않음(신선)
 
2. 누구에게?(청자/시적 대상)
청자: 없음
시적 대상: 백옥경(신선 세계)
 
3. 무엇을?(메시지)
① 1수: 신선이 사는 백옥경의 모습
② 2수: 하루살이가 우글대는 속세의 모습(1수와 대비)
③ 3수: 선계의 유람①-옥황상제로부터 신하로 인정받음
④ 4수: 선계의 유람②-옥황상제가 사는 신선 세계의 모습
⑤ 5수: 인간 세계의 부정적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
 
4. 어떻게?(화자의 정서 및 태도, 표현 방법)
1) 화자의 정서 및 태도
- 선계를 동경
- 인간 세계 비판
- 안타까움
2) 표현 방법
- 대조(대붕↔하루살이)
- 대립적 공간(선계↔속세)
- 신선 세계를 상징하는 관습적 표현 사용
- 시선의 이동(선계→하계→선계)
- 설의법(5수)
- 음성상징어(저벅저벅)
 
[주제]
선계에 대한 동경과 현실 세계 비판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과 무욕의 자세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