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문학 작품 분석 창고

현대시 눈 오는 지도(윤동주) 한 장으로 해설하기

by 쉬운 국어 2023. 8. 21.
728x90

순이(順伊)가 떠난다는 아침에 말 못할 마음으로 함박눈이 나려, 슬픈 것처럼 창밖에 아득히 깔린 지도 우에 덮인다.
방안을 돌아다 보아야 아무도 없다. 벽과 천정이 하얗다. 방안에까지 눈이 나리는 것일까, 정말 너는 잃어버린 역사처럼 훌훌이 가는 것이냐, 떠나기 전에 일러둘 말이 있든 것을 편지를 써서도 네가 가는 곳을 몰라 어느 거리, 어느 마을, 어느 지붕 밑, 너는 내 마음속에만 남아 있는 것이냐, 네 쪼고만 발자욱을 눈이 자꾸 나려 덮여 따라갈 수도 없다. 눈이 녹으면 남은 발자국 자리마다 꽃이 피리니 꽃 사이로 발자욱을 찾아 나서면 일 년 열두 달 하냥 내 마음에는 눈이 나리리라.
- 윤동주, 「눈 오는 지도」-


작품명: 눈 오는 지도(1939년)
작가명: 윤동주(1917~1945년)
 
[제목을 통해 내용 예측]
- 눈이 내리는 상황(이별의 상황) 
 
[작가에 대한 기본 지식]
- 북간도 출생. 연희 전문학교 졸업. 1943년 도시샤 대학 재학 중에 독립운동 혐의로 체포되어 옥사함.
- 시적 경향: 자아 성찰, 양심적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의지. 순교자적 정신을 표현. 시대의 고독과 절망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드러냄.
 
[내용 분석]
1. 누가?(화자)
- 나
 
2. 누구에게?(청자 / 시적 대상)
- 너(순이) / 말을 건네는 방식의 사용
 
3. 무엇을?(메시지)
1) 순이가 떠난다는 아침에 눈이 내림(슬픔)
2) 네가 가는 곳을 모름. 이별의 아쉬움, 안타까움
3) 순이를 향한 나의 간절한 마음
 
4. 어떻게?
1) 화자의 정서 및 태도
- 이별로 인한 슬픔, 안타까움
- 너(순이)를 향한 사랑(그리움)
2) 표현 방법
- 비유(직유, 은유)
- 시각적 이미지 중심
- 산문체
- 시어(어느), 종결 어미(-다, -냐)의 반복
- 의문형 어미의 사용
 
[시에 담긴 이야기]

[시어, 시행 분석]
1) 마음에 내리는 함박눈: 순이를 떠나보내는 화자의 슬픔
2) 벽과 천정이 하얗다: 이별의 충격과 슬픔의 강도를 표현함. 
3) 잃어버린 역사처럼: 화자의 부정적 현실 인식이 드러남. 
4) 일 년 열두 달 하냥 내 마음에는 눈이 나리리라: 순이를 떠나보낸 슬픔과 순이에 대한 그리움이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임을 표현함.
 
[주제]
이별의 슬픔과 순이에 대한 그리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