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문학 작품 분석 창고

현대시 농무(신경림) 한 장으로 해설하기

by 쉬운 국어 2023. 8. 11.
728x90

작품명: 농무(1971년)
작가: 신경림(1936년~)
 
[제목을 통한 예측]
- 농민들의 춤(농민들의 노동에 대한 세계관이 반영)
- '농악무'의 준말. 농악에 맞추어 추는 우리나라 고유의 민속춤. 농촌에서 명절일 때나 공동 작업을 할 때 꽹과리, 징, 북, 대평소, 나팔 등의 악기 연주 가락에 맞추어 고깔을 쓰고 상모를 돌리는 춤과 노래가 함께 어울림. 
 
[작가에 대한 기본 지식]
- 충북 충주 출생. 동국대 영문과 졸업. 이한직의 추천으로 등단(<낮달>, <갈대>)
- 시적 경향: 소외 계층의 민중적 삶에 대한 애정과 연대감, 농촌 현실을 바탕으로 한 농민의 울분과 한
 
[내용 분석]
1. 누가?
우리(농민)
 
2. 누구에게?(청자/시적 대상)
청자: 없음
시적 대상: 조무래기들, 처녀애(소외된 농민들의 한과 슬픔을 인식하지 못하고 그 현실을 비판할 줄 모르는 민중들의 순진한 모습을 드러냄.)
 
3. 무엇을?(메시지)
① 1~6행: 공연을 마친 후 농민들이 모여 술을 마심.
② 7~10행: 장거리에서 농무를 벌임.
③ 11~16행: 피폐해진 농촌의 현실에 대한 울분 토로함. 
④17~20행: 농무를 통해 울분과 한을 신명으로 풀어냄.
 
4. 어떻게?
1) 화자의 정서 및 태도
- 농민들의 좌절과 울분
- 직설적 감정 표출
- 현실 비판적
2) 표현 방법
- 공간의 이동에 따른 시상 전개
- 중의적 표현(분: 분장 / 분노)
- 역설적 상황 설정을 통해 심리를 반어적으로 드러냄.
- 직유법(꺽정이처럼, 서림이처럼)
 
[주제]
농촌 현실에 대한 농민들의 분노와 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