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170

'음운'은 관념적인 소리인가요? Q. '음운'은 관념적인 소리인가요? A. 음운은 음성적인 실제의 소리가 아니라 관념적인 소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소리가 아닙니다. '고기'를 발음할 때, 그 발음, 즉 음성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그리고 '고'의 'ㄱ'과 '기'의 'ㄱ'도 음성이 다릅니다. 하지만, 우리는 'ㄱ'을 같은 소리라고 인식하고 있습니다. 실제 물리적인 소리는 분명히 다른데도 사람들은 'ㄱ'을 같은 소리라는 생각을 합니다. 이것이 곧 관념적으로 소리를 이해한다는 것이고, 그래서 '음운'은 관념적인 소리라 할 수 있습니다. 음운 01(音韻) 「명사」 『언어』「1」 말의 뜻을 구별하여 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 사람들이 같은 음이라고 생각하는 추상적 소리로, ‘님’과 ‘남’이 다른 뜻의 말이 .. 2023. 9. 20.
'날뛰다'는 비통사적 합성어인가요? Q. '날뛰다'는 비통사적 합성어인가요? A. '날뛰다'는 비통사적 합성어로 볼 수 있습니다. '날뛰다'는 '날-(동사 어간이자 어근)+뛰-(동사 어간이자 어근)+-다(어미)'로 분석되는데, 어간 '날-'에 어미가 결합하지 않은 채 바로 다른 어간 '뛰-'가 결합했기 때문에 비통사적 합성어로 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뛰-'가 동사라는 점에서 '날-' 뒤에는 연결 어미가 결합해야 하는데, '날-' 뒤에 연결어미가 따로 없습니다. 그래서 비통사적 합성어로 보는 것입니다. 2023. 9. 20.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홍빛나'는 어떻게 쓰나요? Q.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홍빛나'는 어떻게 쓰나요? A. 로마자 표기법에서 인명(사람 이름)은 음운의 변동을 반영하여 표기하지 않습니다. 청량리 같은 지명은 음운의 변동을 반영하여 표기합니다. '홍빛나'는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Hong Bitna'로 씁니다. '홍빛나'를 로마자로 'Hong Bitna'로 적는 것은 음운의 변동이 적용된 표기가 아닙니다. 만일 음운 변동이 적용된 표기를 했다면 'Hong Binna'로 적게 될 것입니다. 'Bitna'는 음운 변동이 일어난 것이 아니라 'ㅊ'의 자음 앞에서의 발음을 반영한 표기입니다. 다시 말해 '홍빛나'의 '빛'의 받침 'ㅊ'을 'ch'가 아닌 't'로 적는 이유는 음운 변동과 관계없이, 로마자 표기법 제2항의 [붙임 1] 'ㄱ, ㄷ, ㅂ'은 모음 .. 2023. 9. 20.
고전 시가 이 몸이 죽어 가서(성삼문) 한 장으로 해설하기 이 몸이 죽어 가서 무엇이 될꼬 하니 봉래산 제일봉(第一峰)에 낙락장송(落落長松) 되어 있어 백설(白雪)이 만건곤(滿乾坤)할 제 독야청청(獨也靑靑) 하리라 [현대어 풀이] 이 몸이 죽은 뒤에 무엇이 될까 생각해 보니 봉래산 제일 높은 봉우리에 우뚝 솟은 소나무가 되어서 흰 눈이 온 세상을 뒤덮을 때에 홀로 푸른빛을 발하리라. 작품명: 이 몸이 죽어 가서 작가명: 성삼문(1418~1456) [제목을 통한 내용 예측] 자신의 죽음과 관련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함. [작가에 대한 기본 지식] - 조선 전기의 문신,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세조에게 죽임을 당한 사육신 중 한 명. [내용 분석] 1. 누가?(화자) 이 몸 2. 누구에게?(청자/시적 대상) 청자: 없음 3. 무엇을?(메시지) 1) 초장: 죽.. 2023. 9. 20.
'ㅚ'의 발음은 어떻게 되나요? Q. 'ㅚ'의 발음은 어떻게 되나요? A. ㅚ 발음[외/웨] 「명사」 『언어』 한글 자모 ‘ㅗ’와 ‘ㅣ’를 어울러 쓴 글자. ‘외’라고 이르며, ‘괴, 굉’에서와 같이 중성으로 쓰인다. 현재 문법 체계에서 'ㅚ'는 단모음입니다. 'ㅚ', 'ㅟ'는 단모음으로 규정되어 있지, 이중모음에 속하지 않습니다. 다만, 현대인들이 'ㅚ'를 단모음으로 발음하지 않고,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아 표준발음법에서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하고 있어서 'ㅚ'는 [외]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나 [웨]로도 발음할 수 있습니다. 만일 시간이 더 흘러서 미래의 사람들이 'ㅚ', 'ㅟ'를 단모음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아예 없고, 이중모음으로만 발음하게 된다면, 그때에는 'ㅚ', 'ㅟ'를 이중모음으로 규정하게 될 수도 .. 2023. 9. 19.
728x90